■ 진행 : 이재윤 앵커, 이승민 앵커 <br />■ 출연 : 김규정 / 한국투자증권 자산승계연구소장 <br /> <br />* 아래 텍스트는 실제 방송 내용과 차이가 있을 수 있으니 보다 정확한 내용은 방송로 확인하시기 바랍니다. <br /> <br /> <br />2.4 부동산 대책 이후 부동산 시장 흐름에 관심이 쏠리고 있는데요. 1월 주택 거래량이 크게 줄면서 주택 매매 추세와 방향성도 변화 조짐이 보인다는 분석들이 나오고 있습니다. <br /> <br /> <br />반면 거래량 통계에서는 2030 젊은 층의 주택 매수세가 여전히 두드러진 모습이어서 아직 관망하기는 이르다는 시각도 있습니다. 새해 부동산 시장 움직임, 자세히 알아보겠습니다. 김규정 한국투자증권 자산승계연구소장 나와 있습니다. <br /> <br />급등하던 아파트값이 조금 잠잠해지고 안정세를 찾아가는 듯한 그런 느낌을 받게 되는데요. 지금 현재 상황을 놓고 고점을 치고 일단 안정, 또는 하향으로 접어든 것 아니냐 하는 분석들이 있어요. 어떻게 보십니까? <br /> <br />[김규정] <br />일단 한국부동산원이 매주 발표하는 아파트 매매가격 변동률 수치 자체가 2월 들어서 주간 단위로 계속 낮아지고는 있습니다. 상승 폭 자체가 둔화되고 있는 상황이다 보니까 거래량도 줄고 있는 상황에서 상승 폭이 둔화되고 있으니 점차적으로 안정세로 가는 시작 단계가 아니냐라는 예측들이 나오고 있는 상황이고요. <br /> <br />거기다 정부가 공급계획을 대규모로 내놓고 어쨌든 2분기까지 대상지역 후보지 발표 같은 후속작업들에 속도를 내겠다고 한 상황이다 보니까 공급 계획 확대와 맞물려서 이런 안정 조짐이 계속될 수 있다는 예측들도 시장에서 나오고 있는 게 사실입니다. <br /> <br />그런데 또 반대로 일시적으로 상승 폭이 줄기는 했으나 여전히 상승세를 보이는 곳들이 있고 또 중저가 지역들에서는 거래와 함께 종전보다 높은 신고가액 접수도 계속 되고 있는 상황이어서 아직은 좀 속단하기는 이르다라는 판단들도 팽팽히 맞서고 있는 상황입니다. <br /> <br /> <br />지금 저희가 매매 가격 변동률을 그래픽으로 보여드리고 있는데 확실히 급등세는 잡혔다, 이런 모습을 볼 수 있을 것 같기는 한데 그런데 지금 거래량도 같이 줄어들고 있거든요. 이거는 어떻게 해석을 해야 되는 건가요? <br /> <br />[김규정] <br />지난 1월 주택 및 아파트 거래량 자체가 전달 12월에 비해서 크게 줄었습니다. 대략 30% 정도 감소한 것으로 집계가 되고 있는데, 특히 가격이 많이 오르고 대출 규제나 이런 것들이... (중략)<br /><br />▶ 기사 원문 : https://www.ytn.co.kr/_ln/0102_202102231109056812<br />▶ 제보 안내 : http://goo.gl/gEvsAL, 모바일앱, social@ytn.co.kr, #2424<br /><br />▣ YTN 데일리모션 채널 구독 : http://goo.gl/oXJWJs<br /><br />[ 한국 뉴스 채널 와이티엔 / Korea News Channel YTN ]